예전 치트오메틱과 비슷한 치트엔진(cheat engine)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사용법은 인터넷검색하면 많으므로 생략하고 한글화하는 방법을 알아보겠다.

https://cheatengine.org/downloads.php  -  다운로드 사이트

현재 최신버전은 6.8.1버전이다.

우선 다운받은 치트엔진 압축을 풀고 설치를 한다.

실행파일 ->

 

치트엔진을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다. (본인은 6.7 무설치 버전임)

 

모두 영어로 되어있다.

 

한글화 시켜보자

한글번역 파일을 위 사이트 조금 아래로 내려가면 다운 받을 수 있다.

파일명 : ko_KR.zip

그럼 저 파일을 어디에 넣을것인가를 알아보자

치트엔진 설치 폴더안 languages폴더에 들어가자.

 

위와 같은 파일들이 들어있다.

 

 

다운받은 ko_KR.zip 압출풀고 위 languages폴더에 붙여넣자.

 

language.ini 파일을 열자. 맨아래 PreferedLanguage=* 부분을 고쳐준다.

 


별표*를 지우고 ko_KR로 바꾸고 저장.

다시 Cheat Engine.exe를 실행하자.

깔끔하게 한글로 번역되어서 나온다.

 

Posted by 굿프랜

옛날 오락실 게임을 조이스틱으로 해보고 싶어서 검색결과 월광보합이라는 것을 알게되었다.

월광보합4,5,6,파이널,초월광보합,해피박스,판도라박스 등 상당한 종류가 있었고 그 중

sx05re 기반 레트로아크 시스템을 사용하는 월광보합파이널을 구매하였다.

구성품은 아래와 같고 아래와 같이 x96이 쓰여진 셋탑박스가 있는 월광보합만 해당된다.


x96 셋탑박스 사진

 


조이스틱 사진


기존2,600개의 고전게임이 장착되어 있고 마메, 게임보이, 세가, 플스1, psp 등 무려 13,000개까지 추가로 게임롬을 넣을

수 있어 이제품을 선택하였다.


레트로아크에서 삼바설정을 on으로 해놓고 셋탑박스에 랜선을 꽂거나 와이파이를 켜고 컴퓨터 네트워크 설정에서 공유

설정을 하면 컴퓨터 탐색기에서 셋탑박스 폴더에 접근할 수 있다.


컴퓨터에서 네트워크 공유 설정

 

 


컴퓨터 네트워크에 위와같이 sx05re가 보이고 탐색기에서 접근할 수 있다.


https://blog.djjproject.com/296  -  삼바 접근 방법 등 참조


또한 본인은 게임에 치트키 적용하는 걸 즐기는데 이 또한 네트워크 삼바를 통해 치트파일만 넣어주면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한가지 단점이 마메게임만 월광보합에서 적용한 치트가 먹히질 않고 팅겨나왔다.


마메게임 실행 전 화면


셋탑박스 오른쪽USB에는 조이스틱을 왼쪽USB에는 키보드를 연결하고 마메게임을 실행한뒤 키보드 TAB키를 누르면
위처럼 메뉴가 뜬다. 마메는 저 메뉴를 통해서 키 세팅과 치트를 활성화 시킨다.



방향키를 눌러서 치트를 선택후 엔터


치트 활성화를 선택후 엔터



치트 데이터를 찾을수 없다고 나옴.

마메 치트파일은 아래 사이트에서 받을 수 있다.


http://cheat.retrogames.com/mame_downloads.htm  -  마메치트파일 다운 사이트

이문제 해결을 위해 구글링을 열심히 해보았으나 어디에도 해답은 없었다.

월광보합 마메 버전이 0.78버전이고 위 사이트에서 cheat081.zip을 다운 받았다.

압축을 풀면 cheat.dat 파일이 나온다.

이 파일을 rom, save, emulstation, storage, cheat 폴더 등 여러곳에 넣어 줬으나 적용되지 않았다.

컴퓨터 마메는 mame.exe가 있는 폴더에 cheat.dat를 넣으면 되는데 sx05re시스템은 구조가 달라서 치트파일을 넣는 위치를 알수가 없었다.  


노력끝에 어떤 사이트였는지 정확이 기억이 나지 않으나 영어로 마메 bios 폴더에 cheat.dat파일을 넣어라는 문구를 읽었다.

마메 bios 폴더를 찾아서 다운받은 파일을 아래와 같이 넣어줌.
(경로 : 네트워크\SX05RE\roms\bios\mame2003\)


그리고 다시 치트 실행.

 


계속된 실패에 별 기대도 안했는데 이게 웬일???

치트 메뉴가 뜨는 것이다.

상하방향키로 이동하로 좌우 방향키로 on/off를 바꾸고 TAB키로 메뉴를 없앴더니 잘 적용 되었다.

몇일간 고생한 보람이 느껴지는 순간이었다.


sx05re 레트로아크 시스템 마메에서 치트를 사용하고 싶은 사람에겐 좋은 정보가 되길 바란다.

 

정리하면

1. 치트파일을 다운고 압축을 풀고 복사한다. (아래 첨부파일 있음) 

2.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sx05re\roms\bios\mame2003\폴더에 cheat.dat파일을 붙여넣기

cheat.dat

용량이 적은 관계로 치트파일 올림

 

 

Posted by 굿프랜

내 컴퓨터 하드웨어 정보를 보여주는 프로그램 입니다.
한글 지원합니다.




Posted by 굿프랜

컴퓨터 속도나 인터넷 속도가 느려질때 고클린을 사용하면 상당한 개선 효과를 볼 수 있다.

레지스트리 찌꺼기나 악성 액티브X등을 쉽게 삭제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인터넷과

컴퓨터 성능을 높여준다.


 

특징은 아래와 같다



아래는 실행 화면


 

위의 파일은 다운로드 하여 설치후 실행하면 된다.
컴퓨터가 느려져서 답답한 분들은 한번 사용해 보기 바란다.
바이러스 체크도 잊지말고 한번씩 해주는게 좋다.
Posted by 굿프랜

명령어 netsh 는 네트워크 쉘 로서 tcp/ip 설정을 변환할수 있다.

노트북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 와이브로 같은 무선인터넷을 쓰지 않는다면 장소를 이동할때마다 IP를 변경해 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면 집과 회사를 왔다갔다 할 경우 집에서는 유동IP이고 회사는 대부분 고정IP를 많이 사용한다.
이때마다 번번이 네트워크 속성에 들어가서 일일이 IP주소를 쳐줘야 하니 여간 귀찮은 일이 아니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은 배치파일을 만들어 놓고 더블클릭 한번으로 해결을 할 수 있다.

* netsh 명령어 일반 형식은 아래와 같다.

netsh interface ip set address name="랜카드 인터페이스 이름" static [ip주소] [서브넷마스크] [기본게이트웨이] [라우터까지의 홉수]
netsh interface ip set dns name="로컬 영역 연결" [ip주소]
ipconfig
pause
위에서 빨간색 부분이 사용자가 지정할 내용이고 대괄호는 무시한다.
첫번째 줄에서 랜카드 인터페이스 이름은 기본적으로 "로컬 영역 연결"이고 static는 고정IP일때, 유동IP일경우는 dhcp이다.  
라우터까지의 홉수는 1로 설정한다.
둘째줄에는 IP주소 부분에 DNS주소를 넣으면 된다. 자동으로 할경우 IP주소대신 dhcp라고 하면 된다.

- 그러면 집에서 사용할 DHCP용(IP자동설정일 경우) 배치파일을 만들어보자.
먼저 메모장을 연다. 시작-실행-NOTPAD를 치고 엔터.
아래의 내용을 넣고 DHCP.BAT란 이름으로 저장을 한다. (아래내용 복사해서 붙여넣어도 됨.)
netsh interface ip set address name="로컬 영역 연결" dhcp
netsh interface ip set dns name="로컬 영역 연결" dhcp
ipconfig
pause

- 배치파일 생성 (비스타에서 테스트함. xp와 보여지는게 조금 다를수있다. )
- DHCP.BAT를 더블클릭 하면 아래와 같이 과정이 자동실행 된다.
- ipconfig를 통해서 변경된 ip를 확인할 수 있고 pause는 화면이 없어지지 않게 일시정지를 시킨다.
- ip를 확인하고 싶지 않다면 ipconfig와 pause 명령어는 지워줘도 상관없다.
- 이제 네트워크 속성에 들어가서 속성이 변경되었는지 살펴보니 아래와 같다.


- 회사에서 사용할 COMPANY.BAT를 만들어보자.
회사의 IP가 192.168.0.10 이라고 가정하고 DNS IP는 KT서버인 168.126.63.1로 설정한다면
마찬가지로 메모장을 열고 아래와 같이 입력하고 COMPANY.BAT로 저장하면 된다.
netsh interface ip set address name="로컬 영역 연결" static 192.168.0.10 255.255.255.0 192.168.0.1 1
netsh interface ip add dns name="로컬 영역 연결" 168.126.63.1
ipconfig
pause

COMPANY.BAT를 더블클릭하고 실행한다.

비스타라서 ipv6이 나옴을 볼수 있다.
변환한건 ipv4이므로 네트워크 속성에 들어가서 확인하면 아래와 같이 설정내용으로 변경된것을 볼수 있다.


이를 응용한다면 노트북의 ip설정을 배치파일로 자유자재로 쉽게 변경할수 있을 것이다.

netsh의 사용법과 옵션은 아래와 같다.

Posted by 굿프랜

 

윈도우즈 단축키 정리

알면 유용하고 자주쓰이는 윈도우즈 단축키를 정리해 보았다.

XP기준이고 윈도우 환경에 따라 안되는게 있을수 있다.


기본 기능키 (function key F1~F12)

단 축 키
기 능
동 작 환 경
F1
윈도우즈 도움말 .
F2
파일이나 폴더에 클릭하고 누르면 이름바꾸기 .
F3
찾기, 다음찾기 .
F4
주소 표시줄 드롭앤다운버튼 클릭 효과
탐색기 , 인터넷
F5
새로고침
탐색기 , 인터넷
F6
탭(Tab)과 같은 효과
탐색기
F10
메뉴 선택 .
F11
전체 화면 (메뉴, 도구표시줄등이 사라짐) .

컨트롤(Ctrl)키 조합 단축키 : 컨트롤(Ctrl)키를 누른상태에서 다른키를 누르면 동작

단 축 키
기 능
동 작 환 경
Ctrl + A
전체 선택 .
Ctrl + C
즐겨찾기 관리 .
Ctrl + F
복사하기(Copy). 가장많이 쓰이는 기능키.
주의:복사할 대상을 먼저 드래그등으로 선택해줘야 한다.
.
Ctrl + E
검색 .
Ctrl + F
찾기. 웹브라우저나 문서작성시 단어를 찾을때 쓰인다. .
Ctrl +H
열어본 페이지 목록 .
Ctrl + I
즐겨찾기 호출
인터넷
Ctrl + N
새창, 새로 만들기 .
Ctrl + O
열기 창 호출
인터넷
Ctrl + P
인쇄버튼 누른 효과 .
Ctrl +R
새로고침 .
Ctrl +S
저장하기창 호출 .
Ctrl + V

붙여넣기. 복사하기,잘라내기 후에 대상을 붙여
넣을때 사용

.
Ctrl + W
현재 창 닫기 .
Ctrl + X
잘라내기. 역시 대상을 먼저 선택해야 한다. .
Ctrl + Y
되살리기. Ctrl + Z의 반대 .
Ctrl + Z
되돌리기. 실행취소등 최근작업 바로 이전 상태로 돌림. .
Ctrl + ESC
시작 버튼 누름 .

알트(Alt)키 조합 단축키 : 알트(Alt)키를 누른상태에서 다른키를 누르면 동작

단 축 키
기 능
동 작 환 경
Alt
Alt만 누르면 메뉴줄이 활성화 된다.  
Alt + F4
프로그램 종료 , 윈도우즈 종료창  
Alt + Tab
창 바꾸기 , 창이 여러개일 경우 다음창으로 이동  

알트(Alt)키 조합 단축키 : 알트(Alt)키를 누른상태에서 다른키를 누르면 동작

단 축 키
기 능
동 작 환 경
Alt
Alt만 누르면 메뉴줄이 활성화 된다.  
Alt + F4
프로그램 종료 , 윈도우즈 종료창  
Alt + Tab
창 바꾸기 , 창이 여러개일 경우 다음창으로 이동  

윈도우(시작)키 조합 단축키 : 윈도우(시작)키를 누른상태에서 다른키를 누르면 동작

단 축 키
기 능
동 작 환 경
윈도우키 + D
바탕화면 보기 , 모든 창 최소화  
윈도우키 + E
윈도우 탐색기 열기  
윈도우키 + F
하드디스크에서 파일 찾기  
윈도우키 + L
화면 잠금  
윈도우키 + M
바탕화면 보기 , 모든 창 최소화. 윈도우키 + D와 동일  
윈도우키 + R
'시작'버튼 -> '실행' 과 같은 효과.  
윈도우키 + U
제어판 - 내게필요한옵션모음 창 호출  

기타 단축키

단 축 키
기 능
.
Ctrl + Alt + Delete
작업 관리자 호출 , 컴퓨터 다운시 프로그램 강제 종료로 많이 쓰임  
PrtScn
프린트스크린. 화면전체캡쳐. 캡쳐한후 그림판등에 붙여넣으면 됨.  
Alt + PrtScn
현재 활성화 된 창만 화면캡쳐  
Posted by 굿프랜

인터넷에서 감상한 flv포맷, swf등의 동영상을 컴퓨터에 저장하거나 다시볼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프리웨어 이므로 100% 무료로 사용가능하다.
최소 용량에 쉽고 간단한 인터페이스로 초보자가 쓰기에 좋은 프로그램이다.
VideoCacheView 를 실행시킨다.


옵션을 눌러 저장할 항목을 눌러 체크해준다.

Video와 SWF를 체크했더니 캐쉬에 저장된 목록들이 뜬다. X버튼을 눌러 캐쉬내용을 다 삭제한다.

In Cache에 내용들이 Yes에서 No로 바뀌었다.

인터넷에서 저장할 동영상을 플레이한다. 나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스타2 예고 동영상을 보았다.
그러면 내컴퓨터 캐쉬에 우선 저장이 될것이다.

비디오를 끝까지 본 뒤 키보드에서 F5(새로고침)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In Cache가 Yes로 된 방금 본
비디오가 뜬다. 목록이 여러개 뜰수가 있는데 URL등의 정보로 확인하거나 좌측 맨위에 녹색 화살표를 누르면 플레이가 되고
확인할수 있다. swf파일은 연결이 없다고 나오나 비디오는 곰플레이가 깔려있어 플레이 되는걸 확인했다.

녹색 화살표를 클릭하니 아래와 같이 실행된다.



위에서 두번째 아이콘을 누르고 해당 위치를 정해주면 파일이 저장된다.

바탕화면으로 지정했더니 아래와 같이 저장이 되었다.

세번째 아이콘은 Download URL을 웹브라우저로 여는 버튼이다.  

비디오 파일을 선택하고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다운로드 대화상자가 나타나고 swf파일은 웹브라우저가 열린다.
저장버튼을 누르고 저장할 위치를 지정한다.

네번째 X표시 아이콘은 캐쉬 내용을 다 지운다.


Posted by 굿프랜

NBTSTAT     

 

Nbtstat는 네크워크 관련된 명령으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얻을수 있고 IP충돌이 일어날 경우

해당 컴퓨터를 찾을때 많이 사용한다.

명령프롬프트에 아래와 같이 쳐보자. (시작-실행-cmd 라고 치면 명령프롬프트가 뜬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nbtstat -A IP주소 하게되면 해당 IP를 사용하는 컴퓨터 이름을 알수있고 충돌나는 컴퓨터를 찾을수있다.
ipconfig를 해서 자기 ip주소를 확인하고 해당ip를 사용하는 컴퓨터를 찾아보자
명령프롬프트에 아래와 같이 친다. ip주소는 충돌이 일어나는 주소일 것이다.

위와 같은 이름 테이블이 보여지고 충돌이 일어나는 컴퓨터의 이름을 추출할 수 있다. (위는 충돌예는 아니고 정상일경우임)

- 그외에도 아래와 같은 옵션이 있다.

-a  
         컴퓨터 이름에 해당하는 원격 컴퓨터의 이름 테이블을 표시한다.

-A  
         지정한 IP주소를 사용하는 원격 컴퓨터의 이름 테이블을 표시한다.

-c           IP주소를 포함한 NetBIOS 이름 캐시의 내용을 표시한다.

-n           로컬 NetBOIS 이름 목록을 표시한다.(자신)

-r            윈도우 네트워킹 이름 풀기에 대한 이름 풀기 통계를 표시한다.

-R           NetBIOS 이름 캐시에서 모든 이름을 제거한 후 LMHOSTS 파일을 다시 읽어들인다.

-s           클라이언트와 서버 세션을 모두 표시한다.

-S          원격 컴퓨터를 IP 주소로 나열한 클라이언트와 서버 세션을 표시한다.

Posted by 굿프랜

* ROUND 함수

ROUND 함수는 숫자를 반올림 할 때 사용하고 많이 쓰이는 함수이다.

형식은 다음과 같다.

*형식: ROUND(number,num_digits)

- number:
반올림할 수 또는 대상 셀.
- num_digits: 반올림할 number의 자릿수. 소수점을 기준으로 양수,음수,0일때의 경우가 다르다.

 

1. Num_digits > 0 (양수일때)

 지정한 소수 자릿수로 반올림

예, =ROUND(1.23456, 2) -> 1.23
설명 : num_digits가 2이므로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점 두자리 수로 만듦.

 

2. Num_digits = 0 (0일때)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
예, =ROUND(5.6,0) -> 6           =ROUND(2.3,0) -> 2
설명 :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만듦

 

3. Num_digits < 0 (음수일때)

 소수점 왼쪽에서 반올림
예, =ROUND(12.345,-1) -> 10         =ROUND(45.345,-1) -> 50
설명 : 소수점 왼쪽 첫째자리를 반올림 한다.


* ROUNDUP 함수

ROUNDUP 함수는 ROUND함수에서처럼 반올림대신 0에서 먼 방향으로 수를 올림한다.

형식은 다음과 같다.

*형식: ROUNDUP(number,num_digits)

- number:
올림 수 또는 대상 셀.
- num_digits: 올림 할 number의 자릿수.

Num_digits > 0

 number는 지정한 소수점 아래 자리에서 올림
예, =ROUNDUP(1.23456, 3) -> 1.235

 Num_digits = 0

 가장 가까운 정수로 올림
예, =ROUNDUP(2.3,0) -> 3

 Num_digits < 0

 소수점 왼쪽에서 올림
예, =ROUNDUP(34.567,-1) -> 40



* ROUNDDOWN 함수

ROUNDDOWN 함수는 ROUND함수에서처럼 반올림대신 0에서 먼 방향으로 수를 내림한다.

형식은 다음과 같다.

 
*형식: ROUNDDOWN(number,num_digits)

- number:
  내림할 실수입니다.
- num_digits: 내림할 자리수입니다.

Num_digits > 0
 number는 지정한 소수점 아래 자리에서 내림
예, =ROUNDDOWN(1.23456, 3) -> 1.234

 
 Num_digits = 0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내림
예, =ROUNDDOWN(2.3,0) -> 2

 
 Num_digits < 0
 소수점 왼쪽에서 내림
예, =ROUNDDOWN(34.567,-1) -> 30



Posted by 굿프랜

고전게임 듄2(Dune2) 입니다.
용량 : 압축파일 3.7MB
장르 : 전략시뮬레이션 (스타크래프트와 비슷한 종류)
실행방법 : 도스박스(필수유틸자료실)로 실행하세요. dune2.exe 런치

- 스샷 -




dune2.zip

  
 
Posted by 굿프랜

굿프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