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sh명령'에 해당되는 글 1건

명령어 netsh 는 네트워크 쉘 로서 tcp/ip 설정을 변환할수 있다.

노트북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 와이브로 같은 무선인터넷을 쓰지 않는다면 장소를 이동할때마다 IP를 변경해 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면 집과 회사를 왔다갔다 할 경우 집에서는 유동IP이고 회사는 대부분 고정IP를 많이 사용한다.
이때마다 번번이 네트워크 속성에 들어가서 일일이 IP주소를 쳐줘야 하니 여간 귀찮은 일이 아니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은 배치파일을 만들어 놓고 더블클릭 한번으로 해결을 할 수 있다.

* netsh 명령어 일반 형식은 아래와 같다.

netsh interface ip set address name="랜카드 인터페이스 이름" static [ip주소] [서브넷마스크] [기본게이트웨이] [라우터까지의 홉수]
netsh interface ip set dns name="로컬 영역 연결" [ip주소]
ipconfig
pause
위에서 빨간색 부분이 사용자가 지정할 내용이고 대괄호는 무시한다.
첫번째 줄에서 랜카드 인터페이스 이름은 기본적으로 "로컬 영역 연결"이고 static는 고정IP일때, 유동IP일경우는 dhcp이다.  
라우터까지의 홉수는 1로 설정한다.
둘째줄에는 IP주소 부분에 DNS주소를 넣으면 된다. 자동으로 할경우 IP주소대신 dhcp라고 하면 된다.

- 그러면 집에서 사용할 DHCP용(IP자동설정일 경우) 배치파일을 만들어보자.
먼저 메모장을 연다. 시작-실행-NOTPAD를 치고 엔터.
아래의 내용을 넣고 DHCP.BAT란 이름으로 저장을 한다. (아래내용 복사해서 붙여넣어도 됨.)
netsh interface ip set address name="로컬 영역 연결" dhcp
netsh interface ip set dns name="로컬 영역 연결" dhcp
ipconfig
pause

- 배치파일 생성 (비스타에서 테스트함. xp와 보여지는게 조금 다를수있다. )
- DHCP.BAT를 더블클릭 하면 아래와 같이 과정이 자동실행 된다.
- ipconfig를 통해서 변경된 ip를 확인할 수 있고 pause는 화면이 없어지지 않게 일시정지를 시킨다.
- ip를 확인하고 싶지 않다면 ipconfig와 pause 명령어는 지워줘도 상관없다.
- 이제 네트워크 속성에 들어가서 속성이 변경되었는지 살펴보니 아래와 같다.


- 회사에서 사용할 COMPANY.BAT를 만들어보자.
회사의 IP가 192.168.0.10 이라고 가정하고 DNS IP는 KT서버인 168.126.63.1로 설정한다면
마찬가지로 메모장을 열고 아래와 같이 입력하고 COMPANY.BAT로 저장하면 된다.
netsh interface ip set address name="로컬 영역 연결" static 192.168.0.10 255.255.255.0 192.168.0.1 1
netsh interface ip add dns name="로컬 영역 연결" 168.126.63.1
ipconfig
pause

COMPANY.BAT를 더블클릭하고 실행한다.

비스타라서 ipv6이 나옴을 볼수 있다.
변환한건 ipv4이므로 네트워크 속성에 들어가서 확인하면 아래와 같이 설정내용으로 변경된것을 볼수 있다.


이를 응용한다면 노트북의 ip설정을 배치파일로 자유자재로 쉽게 변경할수 있을 것이다.

netsh의 사용법과 옵션은 아래와 같다.

Posted by 굿프랜
1

굿프랜